본문 바로가기

숨막히는 알고말고/문제 풀이

[Baekjoon] 주사위 굴리기

👀 문제 설명

문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을 넘지 않는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예제 입력 1

4 2 0 0 8

0 2

3 4

5 6

7 8

4 4 4 1 3 3 3 2

 

예제 출력 1

0

0

3

0

0

8

6

3

 

예제 입력 2

3 3 1 1 9

1 2 3

4 0 5

6 7 8

1 3 2 2 4 4 1 1 3

 

예제 출력 2

0

0

0

3

0

1

0

6

0

 

예제 입력 3

2 2 0 0 16

0 2

3 4

4 4 4 4 1 1 1 1 3 3 3 3 2 2 2 2

 

예제 출력 3

0

0

0

0

 

예제 입력 4

3 3 0 0 16

0 1 2

3 4 5

6 7 8

4 4 1 1 3 3 2 2 4 4 1 1 3 3 2 2

 

예제 출력 4

0

0

0

6

0

8

0

2

0

8

0

2

0

8

0

2

 

✍🏻풀이

주사위를 굴렸을 때, 기존의 위치를 새로운 위치로 제대로 이동시켜주고 그대로 구현만 잘 하면 되는 문제이다.

주사위를 동쪽, 서쪽, 북쪽, 남쪽으로 굴렸을 때의 함수를 각각 만들어주고, 명령에 따라 해당 함수를 호출한다.

이동 후, 이동한 위치의 값이 0인지 확인하고, 0이라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있는 값을 해당 위치에 복사하고,

0이 아니라면, 칸에 쓰여있는 수를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한 후, 칸을 0으로 만든다.

이후 주사위의 윗 면에 쓰인 수를 출력하면 된다.

 

* 주사위를 쉽게 새로운 값으로 바꾸는 방법

나는 처음에 배열을 사용해 newDice 배열을 생성하고, 해당 배열에 값을 하나하나 넣어준 후, newDice를 다시 dice 배열로 복사했는데, 벡터를 사용하면 쉽게 넣을 수 있다!

주사위를 뜻하는 벡터 vector<int> dice(7)로 선언하고,

이동할 때마다 dice = { 0, dice[4], dice[2], dice[1], dice[6], dice[5], dice[3] }; 이렇게 바로 넣어줘도 제대로 들어간다!

 

코드

배열 사용

//  주사위 굴리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9)

#include <iostream>

#define MAX 20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map[MAX][MAX];
int dice[7]; // 주사위 현황을 저장하는 벡터 (1은 위, 2는 뒤, 3은 오른쪽, 4는 왼쪽, 5는 앞, 6은 아래)
// 순서대로 동, 서, 북, 남
int dx[5] = { 0, 0, 0, -1, 1 };
int dy[5] = { 0, 1, -1, 0, 0 };
int x, y;

/**
 * 동쪽으로 이동
 * 2, 5 위치는 그대로 있고,
 * 4 -> 1, 1 -> 3, 3 -> 6, 6 -> 4
 */ 
void moveEast(int nextX, int nextY) {
    int newDice[7];

    newDice[2] = dice[2];
    newDice[5] = dice[5];

    newDice[1] = dice[4];
    newDice[3] = dice[1];
    newDice[6] = dice[3];
    newDice[4] = dice[6];

    for (int i = 1; i <= 6; i++) {
        dice[i] = newDice[i];
    }
}

/**
 * 서쪽으로 이동
 * 2, 5는 그대로
 * 3 -> 1, 1 -> 4, 4 -> 6, 6 -> 3
 */
void moveWest(int nextX, int nextY) {
    int newDice[7];

    newDice[2] = dice[2];
    newDice[5] = dice[5];

    newDice[1] = dice[3];
    newDice[3] = dice[6];
    newDice[6] = dice[4];
    newDice[4] = dice[1];

    for (int i = 1; i <= 6; i++) {
        dice[i] = newDice[i];
    }
}

/**
 * 북쪽으로 이동
 * 3, 4는 그대로
 * 5 -> 1, 1 -> 2, 2 -> 6, 6 -> 5
 */
void moveNorth(int nextX, int nextY) {
    int newDice[7];

    newDice[3] = dice[3];
    newDice[4] = dice[4];

    newDice[1] = dice[5];
    newDice[2] = dice[1];
    newDice[6] = dice[2];
    newDice[5] = dice[6];

    for (int i = 1; i <= 6; i++) {
        dice[i] = newDice[i];
    }
}

/**
 * 남쪽으로 이동
 * 3, 4는 그대로
 * 2 -> 1, 1 -> 5, 5 -> 6, 6 -> 2
 */
void moveSouth(int nextX, int nextY) {
    int newDice[7];

    newDice[3] = dice[3];
    newDice[4] = dice[4];

    newDice[1] = dice[2];
    newDice[2] = dice[6];
    newDice[6] = dice[5];
    newDice[5] = dice[1];

    for (int i = 1; i <= 6; i++) {
        dice[i] = newDice[i];
    }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NULL); cout.tie(NULL);

    // input
    int K;
    cin >> N >> M >> x >> y >> K;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cin >> map[i][j];
        }
    }

    for (int i = 0; i < K; i++) {
        int dir;
        cin >> dir;

        //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한다.
        int nextX = x + dx[dir];
        int nextY = y + dy[dir];

        if (nextX < 0 || nextX >= N || nextY < 0 || nextY >= M)
            continue;

        // 이동 가능한 경우
        // 주사위를 굴리고,
        switch(dir) {
            case 1: // 동
                moveEast(nextX, nextY);
                break;
            case 2: // 서
                moveWest(nextX, nextY);
                break;
            case 3: // 북
                moveNorth(nextX, nextY);
                break;
            case 4: // 남
                moveSouth(nextX, nextY);
                break;
            default:
                continue;
        }

        // 지도와 바닥면을 비교
        if (map[nextX][nextY] == 0) { //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있는 수가 0이면,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map[nextX][nextY] = dice[6];
        }
        else { //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dice[6] = map[nextX][nextY];
            map[nextX][nextY] = 0;
        }

        cout << dice[1] << "\n"; //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있는 수를 출력한다.

        x = nextX;
        y = nextY;
    }

    return 0;
}

 

벡터 사용

//  주사위 굴리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9)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define MAX 20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map[MAX][MAX];
vector<int> dice(7); // 주사위 현황을 저장하는 벡터 (1은 위, 2는 뒤, 3은 오른쪽, 4는 왼쪽, 5는 앞, 6은 아래)
// 순서대로 동, 서, 북, 남
int dx[5] = { 0, 0, 0, -1, 1 };
int dy[5] = { 0, 1, -1, 0, 0 };
int x, y;

/**
 * 동쪽으로 이동
 * 2, 5 위치는 그대로 있고,
 * 4 -> 1, 1 -> 3, 3 -> 6, 6 -> 4
 */ 
void moveEast(int nextX, int nextY) {
    dice = { 0, dice[4], dice[2], dice[1], dice[6], dice[5], dice[3] };
}

/**
 * 서쪽으로 이동
 * 2, 5는 그대로
 * 3 -> 1, 1 -> 4, 4 -> 6, 6 -> 3
 */
void moveWest(int nextX, int nextY) {
    dice = { 0, dice[3], dice[2], dice[6], dice[1], dice[5], dice[4] };
}

/**
 * 북쪽으로 이동
 * 3, 4는 그대로
 * 5 -> 1, 1 -> 2, 2 -> 6, 6 -> 5
 */
void moveNorth(int nextX, int nextY) {
    dice = { 0, dice[5], dice[1], dice[3], dice[4], dice[6], dice[2] };
}

/**
 * 남쪽으로 이동
 * 3, 4는 그대로
 * 2 -> 1, 1 -> 5, 5 -> 6, 6 -> 2
 */
void moveSouth(int nextX, int nextY) {
    dice = { 0, dice[2], dice[6], dice[3], dice[4], dice[1], dice[5] };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NULL); cout.tie(NULL);

    // input
    int K;
    cin >> N >> M >> x >> y >> K;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cin >> map[i][j];
        }
    }

    for (int i = 0; i < K; i++) {
        int dir;
        cin >> dir;

        //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한다.
        int nextX = x + dx[dir];
        int nextY = y + dy[dir];

        if (nextX < 0 || nextX >= N || nextY < 0 || nextY >= M)
            continue;

        // 이동 가능한 경우
        // 주사위를 굴리고,
        switch(dir) {
            case 1: // 동
                moveEast(nextX, nextY);
                break;
            case 2: // 서
                moveWest(nextX, nextY);
                break;
            case 3: // 북
                moveNorth(nextX, nextY);
                break;
            case 4: // 남
                moveSouth(nextX, nextY);
                break;
            default:
                continue;
        }

        // 지도와 바닥면을 비교
        if (map[nextX][nextY] == 0) { //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있는 수가 0이면,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map[nextX][nextY] = dice[6];
        }
        else { //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dice[6] = map[nextX][nextY];
            map[nextX][nextY] = 0;
        }

        cout << dice[1] << "\n"; //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있는 수를 출력한다.

        x = nextX;
        y = nextY;
    }

    return 0;
}

'숨막히는 알고말고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링크와 스타트  (0) 2021.04.22
[SWEA] 패턴 마디의 길이  (0) 2021.04.17
[Programmers] 풍선 터트리기  (0) 2021.04.15
[Baekjoon] 최소공배수  (0) 2021.04.13
[Baekjoon] 빙산  (0)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