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4

(3)
[SWEA] 정사각형 방 👀 문제 설명 문제 로그인해야 문제를 볼 수 있다. ✍🏻풀이 재귀를 사용해 풀었다. rooms[][]에는 방 번호를, visitNum[][]에는 해당 위치의 방에서 방문할 수 있는 방의 개수를 저장한다. 처음에 visitNum[][]을 -1로 초기화하고, visitNum을 사용해 해당 방에서 방문할 수 있는 방의 개수를 세본 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중 for문을 사용해 rooms에 접근해서, visitNum[i][j]가 -1이라면 getMoveNum(i, j) 함수를 호출하고, 리턴한 값을 visitNum[i][j]에 넣는다. getMoveNum(i, j) 함수는 (i, j) 위치에서 몇 개의 방에 방문할 수 있는지를 return하는 함수이다. (i, j)와 dx, dy 배열을 사용해 인접한 곳에 방문..
[SWEA] 쇠막대기 자르기 👀 문제 설명 문제 로그인해야 문제를 볼 수 있다. ✍🏻풀이 스택을 사용해서 풀었다! 스택에는 String str의 인덱스를 저장해둔다. ( 를 만날 때는 stack.add를, )를 만날 때는 이 괄호가 레이저인지, 쇠막대기인지 구분해서 처리해주면 된다. String str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입력받고, for문으로 str에 접근한다. 쇠막대기인지, 레이저인지 구별하는 방법은 str.charAt(i)가 ')'일 때, stack.peek()가 i - 1인지 확인하고, stack.peek()가 i - 1 이라면, 레이저라는 뜻이고, 아니면 쇠막대기라는 뜻이다. (레이저를 의미하는 괄호쌍은 인접하기 때문이다.) 레이저일 때는 먼저, stack.pop()을 한 후, stack.size()만큼 cnt에 ..
[SWEA] 괄호 짝짓기 👀 문제 설명 문제 로그인해야 문제를 볼 수 있다. ✍🏻풀이 Stack을 사용해 풀면 된다. 가장 먼저, 입력받은 String str의 첫 글자를 스택에 넣는다. 그리고, str 인덱스의 1부터 str.length - 1까지 for문을 사용해 접근하면서, 스택의 top값과 str.charAt(i)가 짝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짝을 이루고 있다면, 스택을 pop하고, 다음으로 넘긴다. 짝을 이루고 있지 않다면, str.charAt(i)를 스택에 add 하면 된다. 코드 package swea; // [S/W 문제해결 기본] 4일차 - 괄호 짝짓기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V14eW..